정보처리기사/필기

과목4 - 구조체, 포인터

공부하고 기록하고 다시보는 블로그 2025. 2. 2. 11:35
  • 구조체 : 다양한 데이터 타입 포함으로 하나의 그룹
    • 선언 : struct 구조체변수명 변수명
    • 생성 : struct 구조체변수명 {}
  • 포인터 : 주소
    • & : 주소를 가져오는 연산자
    • * : 포인터를 가리키는 주소
      • int *p; | char *p;
      • int a = 5; | char array = {1, 2, 3};
      • *p = 5;
      • *p = array;
      • p라는 것이 스텍이라는 메모리공간에 5와함께 생성됨 생성됨
        • *p를 뽑아보면, 값이 반환된다.
        • *(p+1), *(p+2)
        • *(array + 1), *(array + 2)
      • &a | &array : 주소값을 확인 할 수 있음
      • *& 는 해당 주소의 값을 가져오라는 말
      • (*p)[3] : p라는 포인트 배열이므로, 여기에 포인터 주소를 넣어서 관리한다.
        • *(*(p+1)+0) : p에 1번째 인덱스의 주소에서 0 번째 값 가져오기

 

 

 

 -> 구조체와 포인터 문제는 추측이 없음, 한줄한줄 다 풀어야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