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실기] - 데이터베이스 스키마

  • 데이터베이스의 종류
    • 계층형, 네트워크형, 관계형, 객체지향형, 객체관계형, NoSql, NewSql
  • 데이터베이스 개념
    • 데이터의 정의 : 암기방법 - 공장통운
      • 공유
      • 저장
      • 통합 : 중복제거
      • 운영
  • 데이터베이스 스키마
    • 스키마는 구조이며, 속성, 개체, 제약조건
      • 구조라고 하는 것 : 개체 속성으로 회원 ID, 이름, 나이 등과 속성에서 학년은 1~6학년만 들어간다는 것이 제약조건으로 이루어진 구조이다. 
      • 외부 : 사용자 뷰
        • -----> 논리적 독립성 : 개념 스키마가 변경있어도 외부 스키마는 영향이 없다.
      • 개념(전체) : 전체 구조, 제약조건
        • ------> 물리적 독립성 : 내부 스키마가 변경있어도 개념 스키마는 영향이 없다.
      • 내부(물리적) : 저장
      • 데이터베이스
        • DBMS가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해줌 그리고 정의(DDL), 조작(DML), 제어(DCL) 명령어로 구조를 만들어줌
        • 데이터 공유
        • DBMS의 종류
          • 계층 : 트리구조, 다대다
          • 네트워크 층
          • 관계형 : 엑셀도 관계형데이터베이스 이다. 정형데이터
          • NoSQL : 비정

 

[문제]

 

설명에 해당하는 것을 기호로 찾아쓰시오. (22년 2회차 산업기사 문제와 거의 동일)

스키마는 데이터베이스의 구조와 제약 조건에 관한 전반적인 명세를 기술한 것이다.
(    가    ) : 사용자나 응용 프로그래머가 각 개인의 입장에서 필요로 하는 데이터베이스의 논리적 구조를 정의한 것이다.
(    나   ) : 데이터베이스의 전체적인 논리적 구조이며, 모든 응용 프로그램이나 사용자들이 필요로 하는 데이터를 종합한 조직 전체의 데이터베이스로, 하나만 존재한다.
(    다   ) : 물리적 저장장치의 입장에서 본 데이터베이스 구조로, 실제로 저장될 레코드의 형식, 저장 데이터 항목의 표현 방법, 내부 레코드의 물리적 순서 등을 나타낸다. 

 

ㄱ : 외부스키마
ㄴ : 개념스키마
ㄷ : 내부스키마

 

데이터베이스에서 자료의 구조, 자료의 표현 방법, 자료 간의 관계를 형식 언어로 정의한 구조이다. (20년 3회 실기 기출)

스키마

 

전통적인 RDBMS와 다른 DBMS를 지칭하기 위한 용어로, 데이터 저장에 고정된 테이블 스키마가 필요하지 않고 조인 연산을 사용할 수 없으며, 수평적으로 확장이 가능한 DBMS으로, Basically Available, Soft-State, Eventually Consistency의 특성이 있음

 

NoSQL

DBMS의 3가지 필수 기능을 영어와 한글 둘다 쓰시오.

 

정의어, 조작어, 제어어 / DDL, DML, DCL

 

다수의 사용자들이 데이터베이스 내의 데이터를 접근할 수 있도록 해주는 소프트웨어 도구의 집합이며 데이터베이스를 관리 해주는 것

 

DBM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