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보처리기사/필기

과목4 - 프로그래밍언어 : 라우팅 프로토콜과 IP

  • 라우팅 프로토콜
    • IGP : 시내버스 구간, 내부 게이트웨이 프로토콜
      • 종류 
        • RIP
          • 라우터는 최대 15홉 이하까지 이동하는 것...
            • 다음 단말로 건너 뛰는 것을 홉이라고 한다.
            • 갱신주기 30초
          • 소규모 네트워크 환경
          • 거리 백터 라우팅 프로토콜
          • 최단경로탐색[최적의 경로를 선택] 
        • OSPF - 링크 상태 프로토콜
          • Di-jkstra의 알고리즘
            • 최단 경로뿐만 아니라 비용까지 측정
        • (E)IGRP : 위 링크 상태와 거리 백터를 합친것
        • 라우터 프로토콜 == EGP(시내)
      • CA(충돌회피) 또는 CD(충돌방지) : 패킷에 대한

RIP

 

  • IPv4 : 32비트
    • 서브넷팅 : 더 잘개 쪼개는 것 그리고 2개로 나누어도 밑에 브로드 캐스트와 네트워크 주소로 나눌 수 있다.
      • FLSM(Fixed Length Subnet Mask) : 동일한 크키로 나눔
    • 브로드캐스트 : 맨 마지막 숫자(가장큰수)를 쓴다. 마지막 주소 : 192.168.0.255
      • 브로드캐스트 주소이기에.. 127은 작성하지 않음
      • Host ID : 다른 서버와 붙이기 위한 것(Jenkins, Git 등)
        • 2진수 10진수로 바꾸는법[밑에 사진 참고]
    • 서브넷 마스트 : 내가 어느 부분까지 볼 것인가?
      • 192.168.0.243
    • 네트워크 주소 : 192.168.1.0 로 처음 주소(가장 작은 수)
    • host Id :  끝자리 수자
  • IPv6 : 64비트

  • 2진수는 2를 제곱해나가는 부분
  • 1만 더해주면 된다. 2를 제곱해나가는 것
  • 즉, 이말이다.
  •